본문 바로가기
음악이야기 No.1

Note.2 클래식 악기와 오케스트라 - 오보에 A음으로 오케스트라를 조율하는 이유

by sosohan_ 2018. 1. 4.
반응형
SMALL

Note.2 

클래식 악기와 오케스트라


Question

-오보에의 A음으로 오케스트라를 조율하는 이유-




 연주에 앞서 악장의 신호에 따라 오보에가 A음을 내면, 목관, 금관이 차례로 받아서 조율합니다. 그렇게 관악 파트의 조율이 끝나면 악장이 그 소리를 받고, 이어 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순서대로 조율합니다. 조율시간이 길어지면 관객의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율은 퇴대한 빠른 시간 안에 끝냅니다.


 오보에는 비브라토가 거의 없어 음정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오케스트라 전체를 뚫고 나가는 독특한 음색을 지니고 있으며, 콧소리가 약간 섞인 감미로운 소리인데요~ 다른 악기 소리에 섞이지 않고 도드라지게 들립니다.

여러 악기가 같이 연주해도 오보에 소리는 금세 구별되지요. 이렇게 두드러진 음색과 안정적인 음높이 때문에 오보에는 오케스트라는 물론, 다양한 합주 음악에서 음악을 이끌어가는 선율아기 역할을 도맡아 하기도 합니다.


 음의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는 피아노가 조율에 적합하지만, 피아노는 오케스트라에 포함된 악기가 아닙니다. 따라서 가장 안정적인 오보에로 음을 맞추는 것인데요.

물론, 피아노협주곡을 연주할 때는 피아노의 A음에 맞추어 조율합니다.


 그렇다면 A음 기준으로 할까요?

모든 악기는 개방음일 때 가장 안정적인 소리를 냅니다. 현악기는 왼손으로 줄을 누르지 않은 개방현으로 연주할 때, 관악기는 키나 밸브를 누르지 않고 연주할때 가장 안정적인 소리가 납니다. 


 그러나, 오케스트라에 쓰이는 악기의 개방음들은 악기마다 다르지요!

그렇다고 모든 악기를 따로따로 개방음에 맞추어 조율하기란 사실상 불가능 하답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현악기의 경우에는 개방현, 목관악기의 경우에는 가장 키를 적에 쓴는 음, 금관 악기의 경우에는 밸브를 가장 적에 쓰는 음을 찾아야만 했는데요.


 그 음이 바로 A음 입니다. 


 그러나 이런 편리함이 모든 악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클라리넷이나 호른같은 악기는 A음을 기준으로 조율할 경우, 키를 많이 누르고 밸브를 많이 움직어야 합니다. 다른악기에 비해 조건이 매우 불리한 것이지요.

그래서 유럽에서는 A음으로 조율을 한 후, 이악기들을 위해 Bb음으로 다시 한 번 조율 하기도 합니다.


 음악에서는 A음을 표준음으로 삼았습니다.

그런데 같은 A음이라도 진동수가 나라나 지역마다 조금씩 다를 때도 있어요!


 그래서 1788년 표준음을 통일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파리에 모여 회의한 결과 409Hz에 맞추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885년,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열린 국제음고회의에서 435Hz로 표준음을 높였구요. 


그러다가 1939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440Hz로 하기로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래서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440Hz를 표준음으로 삼고 있습니다.




출처 : <<알고 싶은 클래식 듣고 싶은 클래식 - 진회숙 지음>>





**Hwannue의 게시된 모든 글의 무단 도용은 절대 금지합니다.


반응형
LIST